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6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 '연방준비제도'의 다양한 역할 안녕하세요 여러분, 행복ing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미국의 은행 제도와 연방준비제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이들이 은행 대출 현상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외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인 '연방준비제도'의 또다른 목적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려 합니다. 1. '마지막 대출자'로서 어떤 역할 미국에서 연방준비제도(Fed)는 다른 곳에서 신용을 얻을 수 없는 기관들에게 '마지막 대출자'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이는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관의 붕괴를 막는 데 중요합니다. 이 역할은 자유 은행 시대에 운영되던 민간 부문 '클리어링 하우스'에서 이어 받았습니다. 공공 또는 민간 여부에 관계없이, 유동성의 확보는 은행 대출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 2023. 5. 30.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 '연방준비제도'의 존재 이유와 역할 안녕하세요 행복ing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인 '연방준비제도'의 목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1.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만들어진 주된 이유와 그 역할에 대해 연방준비제도를 창설한 주된 목표는 은행 패닉을 대응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외에도 연방준비제도법에는 "탄력적인 통화를 제공하고, 상업어음을 재할인할 수단을 마련하고, 미국 내 은행의 효율적인 감독을 수립하며, 그 외 다른 목적을 위해"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가 설립되기 전에 미국은 여러 차례의 금융 위기를 겪었습니다. 1907년에 발생한 특히 심각한 위기는 연방준비제도법의 제정으로 이어졌고, 이는 1913년에 이루어졌습니다. 현재 연방준비제도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책임.. 2023. 5. 30.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 '연방 준비 제도'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행복ing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인 '연방준비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1. 개요 '연방준비제도'는 자주 줄여서 '연준' 혹은 간단히 'Fed'로도 불립니다. 연준은 1913년 12월 23일, '연방 준비법'의 제정과 함께 만들어졌습니다. 이 제도의 도입 배경은 한 시리즈의 금융 위기, 특히 1907년의 패닉으로 인해 중앙화된 통화 시스템의 통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중앙 통제의 목적은 금융 위기를 완화하는 것이었습니다. 연준의 역할과 책임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확장되었습니다. 1930년대 대공황과 2000년대 대불황 같은 역사적인 사건들이 이런 변화를 주도했습니다. 이런 사건들은 미국의 금융 시스템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연준.. 2023. 5. 30.
구글 대화형 대형 언어 모델인 LaMDA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행복ing입니다. 오늘은 Google의 대화형 인공지능(AI)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개요 이름은 'LaMDA'인데요, 이는 'Language Model for Dialogue Applications'의 약자입니다. 2020년에는 'Meena'라는 이름으로 처음 선보였고, 그 후 2021년과 2022년에는 더 업그레이드 된 버전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6월에는 흥미로운 일이 있었습니다. Google의 엔지니어인 Blake Lemoine이 LaMDA 챗봇이 '의식을 가지게 되었다'고 주장했어요. 사람처럼 생각하고 느낄 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이 주장은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크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이슈는 인공지능이 얼마나 사람처럼 행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흥..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