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일일투자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6월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 시사 - 전일 해외마켓 시황&이슈정리[2023-05-11]

by 행복ing 2023. 5. 11.


1.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미국의 물가, 즉 사람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는 데 필요한 돈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보는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어요.
이 지표는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최근 발표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과 비교해서 4.9% 올랐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같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기 위해 작년보다 4.9% 더 많은 돈을 써야 한다는 것을 의미해요.

그런데 이번에 눈여겨 볼 점은, 이 지표가 예상보다 살짝 낮게 나왔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5% 상승을 예상했는데, 실제로는 그보다 낮게 나왔어요.
그리고 이 수치는 2021년 4월 이후로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오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금리는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행 등)이 받는 이자율을 말하는데,
이것이 동결된다는 것은 돈을 빌리는 사람들이 이자를 더 이상 올리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에요.
이는 일반 사람들에게는 덜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돈을 빌려주는 사람들은 이자를 덜 받게 되므로

그들에게는 좋지 않은 소식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번 지표에서는 주거비가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4월의 주거비는 작년 대비 8.1% 상승했어요.
그 외에 중고차 가격도 4.4% 상승하며 물가를 올리는 데 기여했습니다.
반면, 식료품 가격은 상승세가 다소 완화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보고 앞으로 물가가 더욱 둔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휘발유 휘발유 가격이 최근 들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물가 상승을 어느 정도 제어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중앙은행인 연준의 통화 정책이 현재로서는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것이 물가 상승률을 더욱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편,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면,

사람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는 데 필요한 돈이 증가하는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좋은 소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물가 상승률이 너무 낮아지면 경제가 침체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물가 상승률이 너무 낮으면 사람들이 물건을 사는 것을 미루게 될 수 있고,

이는 소비를 줄여 경제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가 상승률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이, 미국의 물가 상황은 많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국제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제 동향을 주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